본문 바로가기

아이칭

(19)
주역타로 38. 화택규(火澤睽) 화택규(火澤睽) 상괘는 불(火)이고, 하괘는 연못(澤)이다. 연못 위의 불이다. 규(睽) = 서로 등지다, 노려보다, 사팔뜨기, 눈을 부릅뜨다, 경쟁하다 위쪽에 위치한 불은 타오르면서 점차 위로 올라간다. 반면, 아래쪽에 위치한 연못물은 점차 낮은 쪽으로 흘러간다. 서로 섞이지 않는다. 서로 등을 돌린 채 점점 멀어져간다. 그런 의미에서, 규를 괘 이름으로 한다. 화택규 괘는 두 사람의 여인이 한 집안에 거주하고 있는데, 서로 간에 마음이 맞지 않는 모습이다. 여기서 한 집안에 거주하는 두 사람의 여인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고대 동아시아의 결혼제도는 현대와 달랐다. 일부일처제를 원칙으로 할지라도, 실질적으로는 남자들이 첩을 거느리는 등 중혼을 하는 경우도 있다. 즉, 화택규는 두 여자가 한 남자를 놓고..
주역타로 34. 뇌천대장(雷天大壯) 상괘는 천둥 번개(雷)이고 하괘는 하늘(天)이다. 대장(大壯) = 힘차다, 성대하다, 씩씩하다, 크게 왕성하다, 장엄하다. 양효가 4개이고, 음효가 2개이다. 이렇게 되면 음향의 균형이 양쪽으로 치우치면서, 4개의 양이 2개의 음을 밀어붙이는 형상이 된다. 양기가 번성하고, 음기는 쇠퇴한다. 하늘 위에서 우레가 치면, 천지가 진동한다. 그 모습은 아주 힘차고 씩씩하고 장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하늘 위에서 우레가 치고 있으니, 천둥소리는 들리는데, 목마른 대지를 적셔줄 비는 또 쉽게 내리지 않는다. 그러면, 대지 위에 자라는 산천초목들은 목이 말라서 애가 탄다. 이것이 무슨 뜻인가 하면, 좋은 운이 와서, 운세가 왕성한 것 같은데 그 좋은 운세가 좋은 결과를 바로 가져다 주지 않거나, 혹은..
주역타로 31. 택산함(澤山咸) 택산함(澤山咸) 상괘는 연못(澤)이고 하괘는 산(山)이다. 함(咸)은 "모두" "다하다"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는 글자이다. 그리고 감(感)과 마찬가지로 "감각" "감정" "느낌이 좋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매우 길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온 마음을 다하여, 모든 정성을 다하여 노력한다면 끝내는 하늘마저도 감동시킬 수 있다고 하던가. 택산함 괘는 주역의 64괘 가운데, 손꼽히는 길한 괘이다. 쉽게 말해 운수대통, 만사형통의 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상괘의 택(澤)은 젊은 여성을 상징하는 태(兌)괘이며 하괘의 산(山)은 젊은 남성을 상징하는 간(艮)괘이다. 여성의 괘가 위에, 남성의 괘가 아래에 있는데, 주역에서는 이러한 조합을 길하고 긍정적으로 읽는다. 택산함 괘는 남녀 사..
주역타로 30. 이위화(離爲火) 이위화(離爲火) 상괘는 불(火)이고, 하괘도 불(火)이다. 불 두 개가 위 아래로 겹쳐 있기에, 화(火)를 괘 이름으로 한다. 불과 불의 조합. 여기서 두 개의 불은 바로 태양을 상징한다. 이(離) = 떠나다. 불. 태양. 이별한다고 할 때의 그 '이'이지만, 주역에서는 떠난다는 의미보다는 불, 태양을 상징하는 글자로 본다. 즉, 이위화는 눈부신 햇살이 쏟아지는 상을 지니고 있다. 이위화(리위화) 괘를 얻었다는 것은, 전망이 밝다는 뜻이다. 태양. 단어에서부터 이미 대단히 강력한 운이 느껴진다. 불처럼 강렬한 기운이다. 그렇기에 열정과 의욕이 타오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괘가 두 번 겹친 괘가 곧 이위화이기에, 현명한 지성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지성과 열정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긍..
주역타로 28. 택풍대과(澤風大過) 택풍대과(澤風大過) 상괘는 연못(澤)이고, 하괘는 바람(風)이다. 대과(大過) = 크게 지나치다. 무언가 범주에서 크게 벗어났다는 의미가 있다. 상괘와 하괘의 조합으로 볼 때, 연못에 바람이 부는 형상이다. 잔잔한 연못에 바람이 불면, 물결이 크게 일어난다. 조그만 배가 연못에 들어갔는데, 크게 파도가 이는 풍랑을 만난 격이다. 작은 배가 풍랑에 휩쓸리면 위험하다.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다. 그렇기에 이 괘의 이름이 대과(大過)로 정해진 것이다. 주역에서 지나치다는 의미의 '과(過)'를 괘 이름으로 삼은 것은 딱 두 가지 뿐이다. 택풍대과와 뇌산소과. 각각 크게 지나치는 것(大過)과 작게 지나치는 것(小過)인데, '과'라는 글자 자체가 그리 좋은 의미는 아니다. 지나친 것은 오히려 모자란 것만 ..
주역타로 27. 산뢰이(山雷頤) 산뢰이(山雷頤) 상괘는 산(山)이고, 하괘는 우레(雷)에 해당된다. 이(頤) = 턱. 기르다. 봉양하다. 산뢰이(산뇌이)는 산 아래로 천둥이 울려퍼지는 상으로서, 생명을 기르고 봉양한다는 의미의 이(頤)를 괘 이름으로 한다. 여기서 턱이란 윗턱, 아래턱 할 때의 그 턱이다. 여섯개의 효 가운데 맨 위와 맨 아래가 양이고, 나머지 효는 전부 음인데, 이것은 위쪽 턱과 아래쪽 턱 사이에 이가 배열된 모습을 하고 있는 동시에, 혹은 두 턱 사이에 들어가 있는 음식물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건강에 있어서는 음식을 씹고 삼키고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입과 관련되어 있는 만큼. 입으로 들어가는 것(음식) 뿐만이 아니라 입에서 나오는 것(말)에 있어서도..
주역타로 24. 지뢰복(地雷復) 지뢰복(地雷復) 상괘는 땅(地)이고, 하괘는 우레(雷)이다. 복(復) = 돌아오다. 회복하다. 다시 시작하다. 땅 밑에서 우레가 울린다는 것은 땅 위에 새로운 시작이 있을 것임을 알리는 것과도 같다. 그렇기에 복(復)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지뢰복(지뇌복) 괘는 23. 산지박 괘와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괘라고 보면 된다. 즉, 추락과 절망을 의미하는 산지박과는 반대로, 지뢰복은 절망을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을 위해 앞으로 전진하는 상을 갖고 있다. 곧 성공할 운을 맞이할 것임을 알리는 긍정적인 괘로서, 지뢰복을 얻게 되면 그동안 어렵고 힘들고 고통스러웠던 시기가 끝나고, 좋은 운이 찾아온다. 잘 안 풀리던 일이 호전된다. 혹은 과거에 실패하거나 중단되었던 일을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잃어버린 물건이..
주역타로 23. 산지박(山地剝) 산지박(山地剝) 상괘는 산(山)이고, 하괘는 땅(地)이다. 박(剝) = 껍질을 벗기다. 빼앗다. 깎다. 땅 위에 우뚝 솟아 있는 산의 형상이다. 산은 비바람에 깎이고 벗겨지고 무너지면서 상처를 입게 된다. 산지박은 대표적인 불길한 괘로, 주역 64괘 중에서 가장 어려운 상황을 나타내는 괘에 해당된다. 비바람에 산사태가 나서 와르르 쏟아지듯이, 급격하게 운세가 떨어지는 상황을 암시한다. 이칭 주역카드의 그림을 보면, 사람의 다리 부분이 무너지고 붕괴되고 흔들리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하체가 무너져서 흔들리니, 상체 또한 덩달아 동요하고 있다. 추진하던 일이 실패한다거나, 사업이 파산한다거나, 시험에서 합격하지 못한다거나, 명예가 실추된다거나,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건강을 잃는다거나, 믿고 있었던 사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