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타로 38. 화택규(火澤睽)
화택규(火澤睽) 상괘는 불(火)이고, 하괘는 연못(澤)이다. 연못 위의 불이다. 규(睽) = 서로 등지다, 노려보다, 사팔뜨기, 눈을 부릅뜨다, 경쟁하다 위쪽에 위치한 불은 타오르면서 점차 위로 올라간다. 반면, 아래쪽에 위치한 연못물은 점차 낮은 쪽으로 흘러간다. 서로 섞이지 않는다. 서로 등을 돌린 채 점점 멀어져간다. 그런 의미에서, 규를 괘 이름으로 한다. 화택규 괘는 두 사람의 여인이 한 집안에 거주하고 있는데, 서로 간에 마음이 맞지 않는 모습이다. 여기서 한 집안에 거주하는 두 사람의 여인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고대 동아시아의 결혼제도는 현대와 달랐다. 일부일처제를 원칙으로 할지라도, 실질적으로는 남자들이 첩을 거느리는 등 중혼을 하는 경우도 있다. 즉, 화택규는 두 여자가 한 남자를 놓고..
주역타로 23. 산지박(山地剝)
산지박(山地剝) 상괘는 산(山)이고, 하괘는 땅(地)이다. 박(剝) = 껍질을 벗기다. 빼앗다. 깎다. 땅 위에 우뚝 솟아 있는 산의 형상이다. 산은 비바람에 깎이고 벗겨지고 무너지면서 상처를 입게 된다. 산지박은 대표적인 불길한 괘로, 주역 64괘 중에서 가장 어려운 상황을 나타내는 괘에 해당된다. 비바람에 산사태가 나서 와르르 쏟아지듯이, 급격하게 운세가 떨어지는 상황을 암시한다. 이칭 주역카드의 그림을 보면, 사람의 다리 부분이 무너지고 붕괴되고 흔들리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하체가 무너져서 흔들리니, 상체 또한 덩달아 동요하고 있다. 추진하던 일이 실패한다거나, 사업이 파산한다거나, 시험에서 합격하지 못한다거나, 명예가 실추된다거나,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건강을 잃는다거나, 믿고 있었던 사람에..